1. 예수님께 일어난 논쟁
1)배경 : 예수께서 마태의 집에서 많은 세리와 죄인들과 제자가 함께 앉아 식사를 하는 모습을 보고 바리새인들이 따짐(마9:10~11)
그 때에 요한의 제자들도 와서 따짐(마9:14)
2)왜?
- 예수님과 제자들이 금식하지 않았기 때문임
- 금식에는 두종류가 있음?
첫째 하나님께서 명령하시는 금식
둘째 당시 사람들이 일주일에 월, 목 두 번 금식했는데 자신의 신앙생활을 잘하려고 나타내 보이기 위함
▶ 두 번쨰 이유로 딴지를 걸고 있음
3) 예수님께서는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담으라고 이야기 하심
- 하나님께서 모세를 통해 주신 율법은 구약(옛 부대) / 예수님께서 오셔서 주신 말씀은 신약(새 부대)
▶ 옛 부대와 새 부대와의 충돌이 발생한 상횡 임
- 우리는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으로 인해 율법에서 자유함
율법에 얽매이지 않는 이유는 예수님께서 새 일을 행하시기 때문임
2. 옛 부대로 회귀하려는 습성
1)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서는 본질이 무엇인지? 중요함
2) 복음의 역사와 핵심인 본질은 잊고 껍데기만(예배 형식, 기도 방식, 찬양...) 잡고 있지 말자
ex) 예수님께서는 베드로의 생각을 깨셨음(행10:9~23)
3) 복음이 역사하도록 우리 자신을 내어 드리자
4) 변하지 않는 복음을 담을 수 있는 새 부대가 필요함
▶ 내 안의 고정관념, 편견으로 인해 주님의 뜻이 가려져 있지 않도록 해야 함
3. 새 부대를 준비하기 위해
1) 복음의 본질에는 타협하지 않는 삶
- 본질의 뿌리가 깊어야 흔들리지 않음
2) 복음을 담는 그릇에는 수용적인 마음
- 옛부대는 수용성(신축성)이 없어서 터짐 탄력있게 변화도 받아들여야 함.
- 외형적인 것이 아니라 복음을 받아들이는 심령이 중요함
4. 결론
초대교회부터 지금까지 수용성이 있었다. 우리교회 역시 하나님의 은혜로 100년을 바라보고 있으며 앞으로 자녀와 젊은 세대를 위해
새 부대를 준비하도록 하자
6. 느낀점
나 역시 예배 방식과 기도 습관, 봉사 방식...등이 구약의 율법에 얽매여 있는게 많았다는 것을 깨달았다. 그러다 보니 그 율법에 얽매여 신앙생활의
자유를 느끼지 못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. 이제는 본질을 명확하게 깨닫고 시대의 흐름에 맞게 하나님께 예배하고 복음을 전하도록 하겠다.
7. 적용점
- 새로운 찬양도 가장 기쁜 마음으로 하나님께 올려 드리도록 하겠다.
- 피치못할 사정으로 영상예배를 드리는 경우 죄책감이 너무 컸는데 이제는 그 마음에서 자유함을 갖도록 하겠다.
- 목장예배에 한 목원 분이라도 함께 예배드릴 수 있도록 온/오프라인을 통해 예배모임을 갖도록 하겠다.